본문 바로가기

교수진

교수진소개

교수진소개

제주대학교 사학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글자크게 글자작게 프린트

김동전 교수

  • 세부전공

    제주사(History of Jeju)

    연구분야 : 조선시대사, 한국지방사, 문화사

  • 연구실인문대학 2호관 1309호
  • 전화/국제전화064-754-2777/82-64-754-2777
  • 이메일hisdjkim@jejunu.ac.kr
  • 홈페이지http://history.jejunu.ac.kr
경력 및 논문
경력 및 논문
학력

1985 제주대학교 사학과 졸업
1987 단국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문학석사
1995 단국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문학박사

주요경력

제주대학교 인문대학 학장
제주대학교 박물관장
제주대학교 제주문화콘텐츠 창의인재양성사업단(ck-1) 단장
제주대학교 재일제주인센터장
제주연구원 원장
한국역사민속학회 회장
역사문화학회 회장
국립대학박물관협회 회장
Duke University Visiting Scholar
제주특별자치도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지원협의회 위원
제주특별자치도 지역혁신협의회 위원
제주특별자치도 축제육성위원회 위원장
제주특별자치도 문화재위원회 위원
제주특별자치도 도시계획위원회 위원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전문위원

주요논문

주요논저

<공저>
동아시아의 표류(2019)
제주지역 목장사와 목축문화(2015)
한국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제주(2011)
제주여성사Ⅱ(2011)
한국역사민속학강의 2(2010)
제주도 독립운동사적지(2010)
제주역사이야기(2010)
제주여성사Ⅰ(2009)
화산섬, 제주문화재탐방(2009)
감귤산업발전사(2008)
제주문화상징(2008)
지방사연구입문(2008)
제주 전통문화의 보존과 발전방안(2008)
제주축산사(2007)
한국문화와 제주(2003)
한국의 해양문화 : 제주해역(2002)
한국지방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2000)
19세기 제주사회 연구(1997)
제주항일독립운동사(1996)



<논문>
18세기 초 제주목사 이형상의 제주사회 인식과 시정개혁(2022)
18세기‘問情別單’을 통해 본 중국 漂着 濟州人의 漂還 실태(2016)
제주 술의 문화적 원형과 콘텐츠화 전략(2015)
이어도와 이어도과학기지에 대한 역사학적 인식-동아시아 해역 갈등의 해법 모색을 위해-(2014)
제주4·3 역사자료의 수집 현황과 과제(2013)
17세기 말 야계 이익태의 제주목사 부임과 활동(2013)
조선 후기 제주상인 김만덕의 나눔 정신과 사회 통합적 의의(2012)
조선후기 제주거주 몽골 후손들의 사회적 지위와 변화(2010)
濟州鄕校 所藏 조선후기 古文書 자료의 종류와 내용(2008)
근대 제주지역 지식인의 외부세계 소통과 활동(2008)
대학박물관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연구 -국립대학교 박물관 사례를 중심으로-(2008)
18세기 후반 濟州地域 公奴婢의 存在樣態(2007)
최영장군의 역사성과 그 활용방안(2007)
조선전기 중앙정부의 제주도 지배정책과 토착세력(2006)
21세기 제주문화유산의 가치와 활용방안(2006)
조선후기 제주지역 호적중초의 실태와 그 성격(2005)
조선시대 제주의 행정운영과 방어체제(2005)
`在日濟州人` 사회의 형성과정과 변천, 그리고 미래 : 大阪과 濟州간의 상호교류를 중심으로(2005)
하멜의 제주표착에 대한 역사적 의미와 현재성(2004)
조선후기 제주 대정현 호적중초의 기초적 연구(2004)
심재 김석익의 역사저술과 역사인식(2004)
제주지역 문화의 올바른 이해와 활용방안(2003)
조선시대의 제주와 오현(2003)
법정사 항일운동의 역사성과 항쟁지의 활용방안(2002)
삼별초의 대몽항쟁과 제주도(2002)
제주사 시대구분에 대한 일시안(2001)
일본남서제도 고문서의 종류와 특징(2001)
탐라국의 중앙으로의 귀속(1105~1402년)(2001)
호적중초를 통해 본 조선후기 대정현의 호구와 그 변동(2000)
화란선 스페르웨르호의 제주표착에 대한 재검토(2000)
제주지방사 연구현황과 과제(2000)
수정사의 창건과 폐사(2000)
오키나와 야부촌락의 고문서와 그 특징(2000)
18세기 제주도의 행정과 도로(2000)
제주법화사의 창건과 변천(1999)
조선후기 제주고씨 一家의 호구자료 분석(1998)
제주인의 3·1운동과 그 영향(1996)
1909년 제주의병의 실상과 그 의의(1995)
조선후기 제주대정현 향리층의 신분변동(1995)
조선후기 제주도 주민의 신분구조와 그 추이(1995)
19세기 호적제 운영의 폐단과 대책(1993)
18·19세기 답한의 신분적 지위와 그 변동(1993)
제주목 관아시설(1993)
조선전기 수령제도 연구(1987)
조선조(16~18C) 제주지방 현감의 실태분석(1985)

+-

문혜경 교수

  • 세부전공

    서양고대사(Western Ancient History)

    연구분야 : 고대 그리스사, 그리스 신화, 여성사, 문화사

  • 연구실인문대학 2호관 1408호
  • 전화/국제전화064-754-2775/82-64-754-2775
  • 이메일mhkyung@jejunu.ac.kr
  • 홈페이지http://history.jejunu.ac.kr
경력 및 논문
경력 및 논문
학력

제주대학교 사학과 졸업
경희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문학석사
경희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문학박사

주요경력

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기획홍보/대외협력이사/편집위원장
한국서양고전학회 섭외이사
역사교육연구회 지역이사
한국서양사학회/서양고전학회/호서사학회/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편집위원
제주항일기념관 운영위원
제주특별자치도 민간기록물 관리위원
제주여성가족연구원 자문위원
제주연구원 연구자문위원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기록물 평가 심의위원
제주대학교 학생처 부처장
제주대학교 박물관장
제주대학교 학생생활관장
(재)제주평생교육장학진흥원 비상임 이사

주요논문

<공저>
여성문화의 새로운 시각 2(2002)
서양문화사강의(2005)
인물로 보는 서양고대사(2006)
신화/탈신화와 우리(2009)
제주여성사Ⅱ: 일제강점기(2011)
여성사, 한 걸음 더(2024)



<논문>
고전기 아테네 여성의 사회적 지위(2004)
고전기 아테나이 여성과 결혼(2005)
펠로폰네소스 전쟁 초 아테네 역병과 그 충격(2007)
아이스킬로스의 아가멤논에 나타난 제우스의 정의와 Hybris(2007)
판도라 신화에 나타난 여성상과 메시지(2007)
고전기 아테네인의 성규범과 태도(2008)
고전기 아테네에서 매춘과 사회적 통제(2009)
고전기 아테네에서 여성과 종교(2009)
펠로폰네소스 전쟁 중 평화의 의미 -니키아스의 평화협정과 리더십-(2011)
The Politics of Expulsion in the Classical Athens : Ostracism and Democracy(2011)
델포이 신탁과 피티아의 기능(2012)
오르페우스(Orpeus)종교의 특징과 사상적 전승(2013)
도시 디오니시아 축제와 아테네 민주정치(2014)
고전기 아테네 여성의 연극관람과 사회적 친교활동에 관한 담론(2015)
고전기 아테네에서 테테스(thetes)의 해군복무와 민주정 간의 관계(2016)
고전기 아테네에서 중무장보병의 전기 동원체제(2017)
고대 아테네에서 군사적 전술과 사회문화적 변화(2017)
고전기 아테네에서 데마고고스의 등장과 대중의 지배(2019)
고전기 아테네에서 시민과 거류외인 간의 관계(2020)
고전기 아테네에서 거류외인 여성의 이미지(2021)
고대 아테네에서 농경제의에 나타난 여성의 의례적 기능(2021)
고대 아테네에서 사제의 기능과 사회적 지위(2022)
기원전 5세기 칼리아스(kallias) 법령에 나타난 신전 보고의 운영체계(2023)
페리클레스의 파르테논 신전 재건자금: 동맹자금인가? 아테나 폴리아스 보고의 재원인가?(2024)

+-

정창원 교수

  • 세부전공

    동아시아 고대사(Ancient History of East Asia)

    연구분야: 동아시아 고대사 (중국 秦漢史), 동아시아 수리사 (중국 水利史), 대만사

  • 연구실인문대학 2호관 1314호
  • 전화/국제전화064-754-2778/82-64-754-2778
  • 이메일cau16a@empal.com
  • 홈페이지http://history.jejunu.ac.kr
경력 및 논문
경력 및 논문
학력

1996 중앙대학교 사학과 졸업
2000 중앙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문학석사
2008 National Taiwan Normal University(國立臺灣師範大學) 歷史系 문학박사

주요경력

독립기념관 해외자료수집위원
Taiwan YuanZe University(元智大學) Lecturer
역사문화학회 총무이사
중국고중세사학회/대구사학회/문화융합학회/명지대 인문과학연구소/탐라문화연구원 편집위원
제주대학교 기초교양교육원 교양교육센터장
Taiwan Tunghai Journal of History Editor
臺灣 國立臺灣師範大學 韓國海外服務據點 負責人
臺灣 國立臺北大學 <文化.聚落.共有財:文化變遷下之永續發展計?> 공동연구원
The Hoover Institution at Stanford University Visiting scholar
제주문화콘텐츠 창의인재 양성사업단(CK-1) 단장
제주대학교 평의회 수석부의장
제주대학교 교수회 수석부회장
현) 제주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 학과장

주요논문

저서
중국 고대의 수리문화 (2008)
동서양 역사속의 공공건설과 국가경영 (2010)
Revisiting the Commons in South Korea (2017)
공동자원론, 오늘의 한국사회를 묻다 (2017)
The collected papers of “Culture, Communities, and the Commons: SustainableDevelopment under Environmental Change.” (2020)



논문
前漢代 水利事業에 대한 認識 (1999)
西漢初期水利事業之初探;以統一帝國初期社會間接資本投資之實施爲中心 (2004)
秦帝國의 남방공략과 靈渠개착-개착년도 문제를 중심으로-(2008)
大一統帝國之統治與首都建設文化之初探-社會間接資本的一個考察 (2008)
중국고대문화의 형성과 교통망의 활용-진한제국의 도로확충 사례를 중심으로-(2008)
漢代를 중심으로 본 治河策과 治河事業(2009)
歷史家與歷史知識的大衆化(2010)
在邊境地域秦漢帝國的長城建設與民衆動員-對於社會間接資本角度的一個考察-(2011)
한국학 연구와 문집정리의 필요성(2012)
在於中國古代史敍述社會間接資本理論的適用 (2012)
중국 춘추시기를 중심으로 본 신(信)관념 (2013)
徐福東渡說과 中國史書의 東傳에 대한 연관성 탐색 (2013)
戰國시기를 중심으로 본 信관념의 변화-제주지역 공유재 연구를 위한 담론Ⅱ- (2014)
從朴槿惠訪中與韓中FTA看臺灣情勢的探討 (2015)
대만 역사교과서를 통해 본 역사인물의 평가문제 : 진시황과 한무제를 중심으로 (2015)
西漢帝國的國家防衛與西北邊區開發 (2016)
대만 風水문화 연구의 회고와 전망 (2016)
공동체에게 공동자원이란 무엇인가: 두 명의 타이야(泰雅)족 지도자의 생애사를 통해서 본 일제시대 대만 원주민 토지 문제의 전개 (2017)
두 번째 중국화 : 전후초기 진의(陳儀)의 대만 ‘심리건설’ (2017)
종전 후 외세의 개입에 따른 영향과 갈등- 사회경제적 요인으로 살펴본 제주4.3과 대만2.28의 遠因 - (2018)
遷徙與定居, 共同體的再形成 - 以釜山華僑與在日濟州人爲中心 (2018)
전후 타이완 원주민 ‘다바오족’ 토지 반환 요구의 제기 (2019)
‘포모사(Formosa)’와 ‘대만(臺灣)’ 사이 (2020)

+-

전영준 교수

  • 세부전공

    한국중세문화사

    연구분야:고려시대사, 역사교육

  • 연구실인문대학2호관 1315호
  • 전화/국제전화064-754-2773/82-64-754-2773
  • 이메일in-history@hanmail.net
  • 홈페이지
경력 및 논문
경력 및 논문
학력

1988 동국대학교 국사교육과 졸업
1991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교육학석사
2005 동국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문학박사

주요경력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책임연구원
중앙대학교 학술연구 교수
제주대학교 인문대학 부학장
현)제주특별자치도 문화재위원
현)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장
현)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소지원 사업 연구책임자

주요논문

주요논저
한국역사민속학강의 1,2(2010/공저)
역사 속의 다문화(2010/공저)
다문화주의의 이론과 실제(2010/공저)
두산동아출판사 중학교 역사부도(2011/공저)
좋은책신사고 중학교 역사교과서(2012/공저)
청소년을 위한 한국사 속의 다문화(2016/공저)
한국 역사 속의 문화적 다양성(2016/공저)
미래엔 고등학교 역사부도(2017/공저)
제주학개론(2017/공저)
정세 동아시아의 해양과 교류(2019/공저)



麗末鮮初 국가 토목공사와 供役僧(2004)
고려 예종대의 사찰 창건과 승도 동원 -혜음사신창기를 중심으로-(2004)
麗末鮮初 供役僧의 寺院 造營 활동(2005)
고려후기 供役僧과 寺院의 造營組織(2005)
高麗時代 寺院佛事와 助力者(2005)
문화사교육 콘텐츠 구성을 위한 금석문 자료의 활용(2008)
碧巖 覺性의 남한산성 축성과 사원 중창(2009)
신라사회에 유입된 서역 문물과 多文化的 요소의 검토(2009)
현행 중학교 국사교과서의 고ㆍ중세시기 문화교류 내용 서술과 분석(2010)
고려시대 팔관회의 설행과 국제문화교류(2010)
高麗 江都時代 사원의 기능과 역할(2010)
조선전기 官撰地理志로 본 楮紙産地의 변화와 寺刹 製紙(2011)
2009년 개정 교육과정과 현행 중학교 8종 역사부도 분석 - 고려와 조선시대를 중심으로(2011)
11~12세기 전후 麗宋 양국의 문화 인식과 ?高麗圖經? (2011)
高麗時代 ‘編戶’의 行刑體系 적용과 사회적 활용(2012)
고려시대 異民族의 귀화 유형과 諸정책(2012)
고려후기 제주 移居 元이주민과 通婚(2013)
다문화교육 관점에서 현행 중학교 9종 역사교과서 고려시대 단원 분석 -2009(2011)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2013)
<龍潭寺紙役變通節目>으로 본 안동지역의 寺刹 製紙(2013)
전근대시기 제주사회의 기상변화와 대응(2014)
삼별초의 항파두리 토성 입거와 전략적 활용(2015)
제주의 역사문화자원과 문화콘텐츠기획방향(2015)
文獻과 考古資料로 본 麗末鮮初 제주의 기와수공업(2016)
2009 개정교육과정과 고등 한국사?교과서의 麗蒙交流史서술 분석(2017)
고려의 탐라 수탈과 良守의 난(2017)
제주 줄다리기[照里戱]의 역사문화원형 복원과 축제콘텐츠 개발(2017)
역사적 사고력 伸張을 위한 중등 역사교육의 문화재교육(2018)
제주의 역사문화원형과 문화콘텐츠의 창출(2019)
고려~조선시기 제주 동부지역의 교통로와 普門寺址(2020) 외 다수

+-

양정필 교수

  • 세부전공

    한국 근대사(Modern History of Korea)

    연구 분야 : 사회경제사, 상업사, 개성상인

  • 연구실인문대학 2호관 1412호
  • 전화/국제전화064-754-2776/82-64-754-2776
  • 이메일yangjp@jejunu.ac.kr
  • 홈페이지http://history.jejunu.ac.kr
경력 및 논문
경력 및 논문
학력

1995 연세대학교 경제학과 졸업
2001 연세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문학석사
2012 연세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문학박사

주요경력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사학과 조교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사
역사문제연구소 연구원
한국역사연구회 근대사 분과장
탐라문화연구소 부소장
제주대학교 평화연구소장
현)탐라문화연구원 제주4.3연구센터장

주요논문

논문
19세기 개성상인의 자본전환과 삼업자본의 성장(2001)
‘중국인삼’의 실체에 대한 비판적 고찰(2003)
‘조선인삼’의 기원에 대하여(2004)
삼국-통일신라기 인삼 생산과 대외교역(2004)
한말-일제 초 근대적 약업 환경과 한약업자의 대응(2006)
1930년대 개성지역 신진 엘리트 연구(2007)
근현대 지역사 연구의 현황과 전망(2007)
근현대 개성상인의 경제조직 시론(2008)
한말 개성상인의 삼업 경영과 그 성격(2009)
대한제국기 개성지역 삼업 변동과 삼포민의 대응(2009)
1910년대 일제의 삼업 정책과 개성 삼포주의 활동(2010)
1910-20년대 개성상인의 백삼 상품화와 판매 확대 활동(2011)
일제하 개성의 한국인 상권과 그 특징(2012)
조선전기 개성상인의 기원과 발전(2012)
일제하 개성상인의 상업전통 연구-지방출상을 중심으로-(2012)
1930년대 중반 개성 자본가의 만주 진출과 농업 투자(2013)
한말-일제하 금산 인삼 연구(2013)
개항기 경제 변동과 개성상인의 활동(2014)
근대 개성상인의 사환제와 그 변화(2015)
19세기 전반 대청 홍삼무역의 발전과 임상옥의 활동(2015)
개성상인과 정치권력(2015)
18세기 후반 김만덕의 경제활동 재고찰(2017)
일제강점기 개성 시변(時變)의 변화 고찰(2017)
17∼18세기 전반 인삼무역의 변동과 개성상인의 활동(2017)
조선시대 개성 지역에 대한 차별과 개성인의 정체성(2017)
원 간섭기 탐라인의 해상활동과 이어도(2018)
월남 개성인의 정착과정과 개성의 유산(遺産)(2018)
근대 개성 공씨가의 삼포 경영과 자본 전환(2018)
1930년대 백삼 통제의 전개와 개성상인 간 갈등 연구(2019)
개성상인과 일본 오미[近江] 상인의 비교 연구(2019)
개성상인과 중서 산서(山西)상인 비교 연구(2019)
조선전기 정부의 제주도 출륙 포작인 인식과 정책(2021)
대한제국 시기 인삼업의 변화와 특징(2021)



저서
한의학, 식민지를 앓다(2008/공저)
日本帝國勢力圈の東アジア都市經濟(2013/공저)
새로 쓰는 예술사-한국문화 이천년을 이끈 예술 후원자들(2014/공저)
한국 지역사의 위상과 방법적 가능성의 모색(2017/공저)
고려 왕조와 경기를 보는 시선(2018/공저)
제주학 연구자 석주명에 대한 기초 연구(2018/공저)
분단시대 월남민의 사회사(2019/공저)
제주특별자치도지 제1권(2019/공저)

+-

장창은 교수

  • 세부전공

    한국고대사(Ancient History of Korea)

    연구분야 : 대외관계사, 영역사, 정치사회사

  • 연구실인문대학2호관 1317호
  • 전화/국제전화064-754-2772/82-64-754-2772
  • 이메일onionjang@jejunu.ac.kr
  • 홈페이지
경력 및 논문
경력 및 논문
학력

1997 국민대학교 국사학과 졸업
1999 국민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 문학석사
2007 국민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 문학박사

주요경력

북악사학회 회장
신라사학회 편집이사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편집위원장
제주대학교 인문대학 부학장
제주특별자치도 문화위원회 유형 분과 문화재위원
현)한국고대사학회 평의원
현)신라사학회 부회장
현)한국고대사탐구학회/한국고대학회/고구려발해학회/신라사학회/북악사학회/고조선단군학회 편집위원

주요논문

<저서>
(단독)
신라 상고기 정치변동과 고구려 관계(신서원, 2008)
삼국사기(지식을만드는지식, 2009/편역서)
동경잡기(지식을만드는지식, 2009/편역서)
고구려 남방 진출사(경인문화사, 2014)
한국고대사 탐색의 세 가지 시선(역사인, 2019)
삼국시대 전쟁과 국경(온샘, 2020)



(공저)
서울 2천년사⑥‒삼국의 각축과 한강(서울역사편찬원, 2015)
쉽게 읽는 서울사‒고대편(서울역사편찬원, 2018)
탐라耽羅(2018년 국립제주박물관 기획특별전, 2018)
고대 동아시아와 탐라(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19)
고구려 후기 정세 변화와 지배체제‒고구려통사⑤(동북아역사재단 한국고중세사연구소 편, 2021)
고구려 중기 대외관계와 문물교류‒고구려통사④(동북아역사재단 한국고중세사연구소 편, 2022)
새롭게 쓴 탐라사(제주특별자치도 민속자연사박물관, 2024) 외 다수



<논문> 삼국사기 지리지 ‘고구려고지’의 이해방향(2010)
4~5세기 고구려의 남하와 삼국의 영역향방(2010)
5~6세기 고구려의 남하와 한강 유역의 영역향방(2010)
6세기 중반 한강 유역 쟁탈전과 관산성 전투(2011)
진흥왕대 신라의 북방진출과 대고구려 영역향방(2012)
창녕진흥왕척경비와 신라의 영역 확장(2012)
4~5세기 고구려의 남방 진출과 대신라 관계(2012)
6세기 후반~7세기 초반 고구려의 남진과 대신라 영역향방(2013)
아차산성을 둘러싼 삼국의 영역 변천(2014)
서봉총 출토 은합의 성격 재검토(2015)
475~551년 한강 유역 영역변천사 연구동향(2015)
4세기 후반~6세기 중반 단양지역을 둘러싼 신라와 고구려의 각축(2015)
나제동맹기 신라와 백제의 국경선 변천(2016)
660~662년 고구려와 신라·당의 전쟁(2016)
6세기 중후반 신라·백제의 각축과 국경선 변천(2017)
원광의 생애와 사상-연구사적 검토와 과제(2018)
고대 탐라국 연구의 쟁점과 이해방향(2018)
현행 중학교 역사 교과서와 역사 부도의 삼국시대 지도 검토(2018)
삼국시대 전쟁의 발발과 시대적 의미(2019)
7세기 전반~중반 백제‧신라의 각축과 국경 변천(2019)
삼국시대 ‘난민’의 발생 배경과 동향(2020)
2020 발행 중학교 역사② 교과서 ‘선사문화와 고대국가의 형성’ 지도·그림자료 검토(2021)
현행 중학교 역사② 교과서 ‘남북국시대의 전개’ 지도·그림자료 검토(2021)
4~7세기 삼국 간 전쟁포로의 동향과 그 의미(2021)
고대 탐라 명칭의 재검토(2022)
『삼국사기』 백제본기 耽羅의 실체 검토(2023)
4세기대 고구려의 국제관계와 이주민 동향(2023)
4세기 말~5세기 초 고구려의 국제관계와 이주민(2025)

+-

권인혁 명예교수

  • 세부전공조선시대사(History of Chosun Dynasty) 연구분야 : 사회경제사
  • 연구실명예교수실
  • 전화/국제전화064-754-2770/82-64-754-2770
  • 이메일inkwon@jejunu.ac.kr
  • 홈페이지http://history.jejunu.ac.kr
경력 및 논문
경력 및 논문
학력 서울대학교 역사교육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문학석사
건국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박사수료
주요경력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전문위원
제주대학교 박물관장
제주도사연구회 회장
제주도사정립사업추진협위회 운영위원
주요논문 주요논저

조선시대 화폐유통과 사회경제
한국 근대 농민 항쟁사

조선후기 제주지역의 수취체제와 주민의 경제생활
금속화폐제도의 시행
17세기 조선의 대외인식과 하멜표착 외 다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