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학원

교육대학원

교육대학원

제주대학교 사학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글자크게 글자작게 프린트

교육대학원 교육목표

역사학 지식의 전수자로서 그 지식을 효율적으로 학생들에게 전달할 수 있는 세계사ㆍ국사교육의 교수방법을 창안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시키는데 있다. 또한 역사학 현장교육의 수준을 높이는데 기여하여 역사과(국사 및 세계사교육)교원으로서의 자기혁신과 창의성을 함양시키고자 한다.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역사교육전공은 역사의 전반적인 흐름을 이해하고, 각 시대상에 대한 비판적인 안목을 높이고자 한다. 역사학 지식의 전수자로서 그 지식을 효율적으로 학생들에게 전달할 수 있는 교수방법 창안 능력을 함양시키고, 역사학 현장 교육의 수준을 높인다. 즉, 역사과(세계사교육, 국사교육) 교원으로서의 자기혁신과 창의성을 함양시키고자 한다. 또한 역사과 초ㆍ중등교사의 재교육을 목적으로 한다. 무엇보다 현장에서의 교육을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창의적인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데 주력한다. 

 

*지역화교육과 향토사교육

지역적 긍지를 가진 주체적 지역민으로 성장·육성한다는 지역화 교육의 목표 실현은 향토사·향토문화 교육의 강화로 나타난다. 따라서 현장교사들에게 제주지역의 역사와 문화 자료를 활용하여 향토사 교육을 담당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입학

교육대학원(양성과정)은 반드시 관련학과 입학자에 한하여 입학할 수 있다.

교육대학원에서 취득한 학점만으로 교사자격증을 취득할 수 없으므로 교육대학원 입학 전에 학부 또는 대학원 관련학과를 졸업하고 취득한 전공과목 및 교직과목의 학점을 인정받아야 교사자격증 취득이 가능함.(일반선택, 교양으로 이수한 학점은 전공과목으로 인정 불가)

 

이수학점 및 교과운영

이수학점

 

과정 교직(H) 전공선택(E) 전공필수(D)
석사과정 6학점 21학점 3학점 30학점

 

교과운영(전체 교육과정은 하단 별첨 표 참고)

  • 전공과정 : 전공필수 3학점, 전공선택 21학점 이상 이수해야함. 단, 전공필수는 최종학기에 이수
  • 교직과목 : 교육대학원에서 개설된 교직과목 6학점 이수
  • 선수과목 : 비동일계 전공학과 출신자는 선수과목 6학점 이상 이수

*교원 자격증 취득 희망자는 기본이수(6과목), 교과교육(3과목), 무시험검정에 필요한 교직과정 이수기준을 충족해야함

 

수강신청 및 신청학점

  • 수강신청은 매 학기 9학점 까지 가능함(선수과목 제외)
  • 개설 교과목은 매 학기 달라지며 수강신청 전 하영드리미에서 조회 가능

지도교수 위촉 및 논문 심사

  • 지도교수 위촉 : 1학기 수료 후 위촉
  • 논문 심사 : 학위논문 심사 신청 한 학기 전 예비발표 시행(매년 6월, 12월), 예비발표 완료된 원생에 한하여 심사청구 가능

외국어 및 종합시험

  • 외국어시험은 12학점, 종합시험은 18학점 이상 이수하고 평점평균이 2.70 이상으로써 지도교수의 추천을 받은 자.
  • 시행시기: 학기초 30일 이내
  • 시험과목
외국어시험 종합시험
전공영어 전공 3과목

   합격기준: 외국어 시험은 60점, 종합시험은 70점 이상.

    과목별로 합격여부 발표, 불합격된 과목에 대해서는 논문 제출기한 이내에 재응시 가능.

 

 

<별첨>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교육과정

 

학년

학기

이수

구분

교과목

코드

교과목명

학점

시수

입학년도

비고

국문

영문

0-0

전필-D

ZZA41283

역사교육논문연구

StudiesinHistoryEducationThesis

3-3-0

2020

 

 

전선-E

ZZA17683

동양고중세사연구

StudiesinAncientandMedievalHistoryinAsia

3-3-0

2020

 

 

전선-E

ZZA17693

동양근현대사연구

StudiesinModernandContemporaryHistoryinAsia

3-3-0

2020

 

 

전선-E

ZZA17663

동양사의제문제

ProblemsinAsianHistory

3-3-0

2020

 

 

전선-E

ZZA18533

르네상스지성사연구

StudiesinIntellectualHistoryofRenaissance

3-3-0

2020

 

 

전선-E

ZZA77900

서양근현대사연구

StudiesinModernandContemporaryHistoryofEurope

3-3-0

2020

 

 

전선-E

ZZA28383

서양사의제문제

ProblemsinWesternHistory

3-3-0

2020

 

 

전선-E

ZZA76370

서양사특강

TopicsinWesternHistory

3-3-0

2020

 

 

전선-E

ZZA76374

여성사연구

SeminaronWomen'sHistory

3-3-0

2020

 

 

전선-E

A0000542

역사교과교육론

TeachingTheoriesofHistorySubject

3-3-0

2020

 

 

전선-E

ZZA41693

역사교육교재연구

StudiesinTeachingMaterialsofHistoryEducation

3-3-0

2020

 

 

전선-E

ZZA41723

역사교육론

TheoriesofHistoryEducation

3-3-0

2020

 

 

전선-E

ZZA41713

역사교육발달사

HistoryofDevelopmentinHistoryEducation

3-3-0

2020

 

 

전선-E

ZZA77904

제주근현대사연구

StudiesinModernandContemporaryHistoryofJeju

3-3-0

2020

 

 

전선-E

ZZA75629

제주문화사특강

TopicsinJejuCulturalHistory

3-3-0

2020

 

 

전선-E

ZZA76313

지방사연구법

MethodsofResearchinProvincialHistory

3-3-0

2020

 

 

전선-E

ZZA63133

한국고대사연구

StudiesinHistoryofAncientKorea

3-3-0

2020

 

 

0-0

전선-E

ZZA63143

한국고문서연구

SeminarinKoreanPaleography

3-3-0

2020

 

 

전선-E

ZZA62863

한국근세사연구

StudiesinHistoryofModernKorea

3-3-0

2020

 

 

전선-E

ZZA77905

한국근현대사연구

StudiesinModernandContemporaryHistoryofKorea

3-3-0

2020

 

 

전선-E

ZZA76418

한국문화사연구

StudiesonCulturalHistoryofKorean

3-3-0

2020

 

 

전선-E

ZZA62883

한국사교재연구

StudiesinTeachingMaterialsofKoreanHistory

3-3-0

2020

 

 

전선-E

ZZA63213

한국사의제문제

ProblemsinKoreanHistory

3-3-0

2020

 

 

전선-E

ZZA76419

한국사특강

TopicsinKoreanHistory

3-3-0

2020

 

 

전선-E

ZZA63443

한국중세사연구

StudiesinHistoryofMedievalKorea

3-3-0

2020

 

 

전선-E

ZZA67443

향토사교재연구

 

3-3-0

2020

 

 

선수-M

ZZA77907

한국사개설

IntroductiontoKoreanHistory

3-3-0

2020